2024-03-26 15:26 (화)
국미연 신남방 진출전략
국미연 신남방 진출전략
  • 리치
  • 승인 2018.05.08 15: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물류 브릿지 물꼬 트자”

 

미·중 무역 갈등이 극심해지면서 이들 국가 교역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신남방 공략 강화 전략에 대한 논의가 무르익고 있다. 국가미래연구원 산업경쟁력포럼에선 베트남(V)인도네시아(I)인도(I)필리핀(P)을 칭하는 ‘VIIP프로젝트 우선 추진 전략’이 제시됐다.

“중소·중견 제조기업들이 ‘신남방’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사업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물류거점 기반 SC 플랫폼 구축이 절실합니다.”
핵심국가와 국갑려 우선순위는 베트남(V)인도네시아(I)인도(I)필리핀(P)로 열거했다.
아울러 “제조기업들의 공급사슬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현지 물류기업의 인력 교육 양성 및 우리나라 물류서비스 전문 인력의 현지 파견 정주를 통해 물류시설뿐 아니라 물류인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눈길을 끌었다. 국가미래연구원이 4월19일 서울클럽에서 ‘세계경영전략과 물류의 역할’이란 주제로 마련한  산업경쟁포럼에서였다.


신남방 전략, 물류 브릿지가 관건

세미나 주제발표자인 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양 원장은 ‘신남방지역 물류 브릿지 구축전략’에 논의를 집중했다.
양 원장은 양 원장은 우리 기업들의 해외진출 확대에 가장 큰 걸림돌로 “현지 공급사슬(SC) 경쟁력이 떨어진 탓”이라고 직격했다.
2017년 기준으로 전년도 대비 공급사슬 경쟁력을 따져보면 전년이 100이라면 동남아는 87.4로 서남아시아는 88.8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공급사슬 경쟁력이란 항만에서 배후단지 혹은 수요지역 물류거점까지 필요한 물리시설 및 전문서비스 체계를 뜻한다. 
이와 관련 그는 “우리나라가 우선적으로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할 국가로는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순”이라고 손꼽으며 정부 정책차원의 투자와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한 VIIP 프로젝트, 즉 베트남(V), 인도네시아(I), 인도(I), 필리핀(P) 정부의 항만 및 물류시설 관련 프로젝트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물류 투자방향 전환 필요성

양 원장은 “해외 현지 항만터미널, 내륙물류 네트워크, 공동물류센터, 자유무역지대, 내륙컨테이너기지 등 투자는 해외 현지 진출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물류시설 투자임인데도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새로운 VIIP 지역 투자전략의 기본상은 국가별로 상이한 요구사항을 반영한 물류연계 거점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할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그는 이들 정부가 추진할 물류 프로젝트 규모는 약 160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남부 호치민과 북부 하이퐁을 중심으로 한 내륙컨테이너기지(ICD) 개발에 중점을 두는 베트남과 달리 인도네시아는 항만 프로젝트에 총 58억 달러를 들일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인도의 경우 항만 프로젝트 추정 사업비가 약 58억7000만 달러에 이르고 항만 및 임해 산업단지까지 포함하면 100억 달러 내외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필리핀 또한 RoRo항만 개발에 힘쓰면서 자국 내 도서간 연결성에 중점을 두는 특성에 맞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서비스·인력 전문화 병행

인프라 투자 못지 않게 물류서비스 전문화와 서비스를 수행할 인력 정착에도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 원장은 “해외 진출 우리기업 대부분이 현지 전문 물류 서비스 부재로 현지 시장 개척 및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동남아와 서남아 현지에 전담인력을 정주시킬 예산 확보와 더불어 현지 적합형 물류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지 인력은 국가별·지역별 맞춤형으로 육성해서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필요하면 현지인에 대한 교육도 실시해 공동으로 제3국 진출 기반을 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같은 노력을 펼치면 인력, 자본력, 정보력이 부족해 해외진출이 어려운 국내 중소 제조 기업들의 해외진출 및 네트워크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중소·중견 제조기업들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켜 물류전문인력 고용을 통한 해외 일자리 창출효과도 따라 오는 효과도 있다.
무엇보다 이렇게 핵서 수출이 늘면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투자했던 이상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정부, 투자확대 전담시스템 추진

이날 토론에 참여한 서기웅 산업자원부 유통물류과장은 “신(新)남방지역 물류 브릿지 구축전략으로 ▲국가별 SC관련 물류시설 투자 확대 ▲물류인력에 대한 투자 강화 ▲물류거점 기반 지원 전담 시스템 구축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물류거점 기반 지원 전담 시스템 구축과 관련해서는 “각 진출 대상 국가에서 수출통관 절차 등에 대한 분석 및 애로사항 해결 등은 해외 물류거점 확보의 성공 여부에 중요하다”며 “물류거점 기반 현지 지원 전담시스템 구축은 또 하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중요성을 인정했다.
이어 “신남방지역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국내 제조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수출 증대에 기여함은 물론 글로벌 전문 물류 인력양성을 통해 해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류기업 동반 해외진출 등 대안

김진일 전 통합물류협회 회장은 “ 물류기업의 종합적 전문물류서비스 역량 증대와 화주기업의 인식 전환 홍보 노력, 그리고 전략적 제휴 등에 대한 제도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는 ▲화주기업의 물류 자회사 운영을 주력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허가 제도화 ▲물류기업 간 제휴와 M&A를 촉진하는 인센티브(금융, 조세지원)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간의 전략적 파트너 관계 구축 등의 처방도 제시했다.
나아가 “중소 물류기업의 전문화 지원 및 동반 해외 진출 등의  적극 지원을 통해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현재 우아한형제 이사는 “우아한형제들이 물류 혁신의 방법으로 선보인 배달로봇 ‘딜리’도 실제 한국에서 서비스되기 위해서는 한두 개 법률이 아닌 수 십 개의 법률을 개정해야만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때문에 “개인정보에 발목 잡혀 있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도 규제 개선 없이 혁신을 이끌어 내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