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17:43 (금)
서울예술단, 18년만의 희극 ‘금란방’ 개막
서울예술단, 18년만의 희극 ‘금란방’ 개막
  • 박상훈기자
  • 승인 2018.12.06 16: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바탕 웃을 수 있는 소동의 현장 ‘기대 만발’

 


서울예술단의 신작 창작가무극 「금란방」이 오는 12월 18일부터 12월 30일까지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한다. 조선 최고의 힙플레이스, 모든 것이 가능하고 무엇이든 상상할 수 있는 그곳 ‘금란방(金亂房)’에서 펼쳐지는 유쾌한 소동극 「금란방」은 한 번 들으면 헤어날 수 없는 마성의 전기수 이자상과 낭독의 기술이 절실한 왕의 신하 김윤신, 이자상을 흠모하는 철없는 딸 매화와 현명한 몸종 영이, 금주단속반 꽃미남 윤구연이 얽히고 설키며 펼쳐지는 요절복통 코미디다. <리치>에서 소개한다.


서울예술단이 만드는 정통 코미디

창작가무극 「금란방」은 서울예술단이 2000년 「대박」 이후 18년 만에 선보이는 희극으로 한국적 소재를 바탕으로 한 정통 코미디 작품이다. 「금란방」은 왁자지껄한 소동 속에 허를 찔러 시대를 풍자하는 전형적인 몰리에르식의 희극을 표방한다.
이야기는 총 3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 중 ‘매화 장옷’의 분실로 인해 벌어지는 해프닝을 촘촘한 갈등 구조로 이어나간다.
때마침 뮤지컬 「젠틀맨스 가이드」, 연극 「진실X거짓」 「더 플레이 댓 고우즈 롱」 등 하반기 공연계에 불고 있는 다양한 소재의 코미디 열풍이 더해져 더욱 기대를 모은다. 2018년을 마무리하는 시기, 누구보다 열심히 치열하게 한 해를 보낸 당신에게 「금란방」은 모든 상상이 가능한 축제의 장이자 웃음이 가득한 해방구가 될 것을 약속한다.


술과 이야기와 장옷쟁탈 소동

「금란방」은 18세기 조선을 관통하는 두 가지 키워드, 금주령과 전기수라는 흥미로운 소재를 바탕으로 한다. 조선후기 최고의 유행은 소설 읽기였다. 하지만 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책값이 비싸 책을 보는 게 쉽지 않았다. 그래서 등장한 직업이 소설을 전문적으로 읽어주는 전문적인 낭독가 전기수였다.
전기수는 단순히 이야기만을 읽어주는 것이 아니라 몸짓, 손짓, 표정, 말투로 연기를 했으며 탁월한 말솜씨로 흥미로운 대목에 이르면 소리를 그치고 청중이 돈을 던져주기를 기다렸다가 다시 낭독을 시작하는 등 청중을 쥐락펴락하는 끼를 겸비해 연예인 못지않은 인기를 누렸다.
또한 이 시기는 강력한 왕권 확립의 일환으로 엄격한 금주령이 시행된 영조의 통치 시기였다. 금주령은 조선시대 500년 동안 국가의 기본정책이었으나 민가의 제사는 물론 종묘제례에서도 술을 쓰지 않은 임금은 영조가 유일했다.
「금란방」은 강력한 금주령을 실시했던 영조 시대에 있었을 법한 밀주방이자 매설방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신분·연령·성별의 차이를 뛰어 넘는 유쾌한 소동극이다.


모든 금기가 허락되는 공간  

「금란방」은 금기(禁忌)를 깨는 이야기이다. 가지 말라는 곳은 더 궁금하고 마시지 말라는 술은 더 달콤하며 하지 말라는 사랑은 더 짜릿하기 마련. 술시(戌時, 7~9시)가 되면 문이 열리는 그곳, 금란방에서는 이 모든 것이 가능하다.
옆 사람 눈치도 볼 필요가 없고 웃고 싶으면 박장대소하며 공감이 가면 환호하고 그렇게 잠시 잠깐 시끄러운 세상사일랑 접어두고 금란방의 손님이 되어 이자상이 들려주는 오묘한 이야기와 금기가 만들어낸 낭만에 풍덩 빠져보는 건 어떨까.
이를 위해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은 블랙박스시어터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작품 속 비밀스럽고 은밀한 금란방으로 변신할 예정이다.
특별한 방법으로 입장하게 될 조선시대의 ‘스피크이지바(Speakeasy Bar)’격인 금란방의 문이 열리는 순간 관객들은 네비게이션에 나오지 않는 아는 사람만 찾아갈 수 있는 간판 없는 ‘스피크이지바’의 문을 열었을 때의 성취감만큼이나 짜릿하고 색다른 시간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의 창작진

이번 공연은 서울예술단과 처음 작업하는 창작진들의 면면 또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연출은 연극 「날 보러와요」「보도지침」, 뮤지컬 「판」「아랑가」「러브레터」 등 사회의 단면을 꼬집는 풍자부터 아름다운 사랑이야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넘나들며 관객들과 소통하는 변정주 연출가가 맡았다.
그는 “낮의 일상을 살아내기 위해 밤에는 놀거나 쉬어야하고 일주일의 일상을 살아내기 위해 주말에는 놀거나 쉬어야하며 1년을 살아내기 위해서는 집중적으로 놀거나 쉴 수 있는 축제의 시간이 필요하다. 금란방을 그런 축제의 공간”이라고 연출 의도를 설명하며 일상이 파괴되고 금기가 허용되는 공간을 만드는 이번 작업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극본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땡큐 베리 스트로베리」 등을 통해 대학로의 새로운 이야기꾼으로 급부상한 박해림 작가, 음악은 「라흐마니노프」「붉은정원」「살리에르」 등 물 흐르듯 유려한 음악으로 사랑받는 이진욱 작곡가가 맡았다.
또한 금란방의 온도와 분위기를 이끌 7인조 라이브밴드에는 그룹 잠비나이의 김보미(해금)와 고래야의 김동근(대금)이 합류해 12월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을 한바탕 웃을 수 있는 소동의 현장으로 뒤바꿀 채비를 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