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16:53 (금)
재건축아파트·전세 시장도 오름세
재건축아파트·전세 시장도 오름세
  • 이욱호 기자
  • 승인 2023.10.16 14: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파트값 상승세 지속

 

주춤하는 듯했던 집값 상승세가 다시 확대하고 있다. 거래가 활발하지는 않지만, 상승 거래가 지속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올해 매매 중 10%가 전고점을 넘어서는 가격에 팔리기도 했다. 리치에서 자세히 소개한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된 후 9월 21일 기준으로 9주 연속 올랐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은 상승 폭이 소폭 줄었지만, 0.12% 오르며 18주 연속 상승세다.

서울은 주거환경이 양호한 선호단지 위주로 수요 증가하며 가격이 올랐다. 주요 지역 내 개발 호재 있는 단지 위주로 매수문의 증가하고 상승 거래 발생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다. 서울 강북 14개 구는 0.11% 올랐다.

성동구(0.20%)는 금호·응봉동 역세권 선호단지 위주, 동대문구(0.20%)는 답십리·장안동 대단지 위주, 중구(0.17%)는 신당·황학동 중소형 평형 위주, 용산구(0.17%)는 이촌·한남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0.13%)를 보면 송파구(0.24%)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했다. 강동구(0.18%)는 암사·강일·고덕동 대단지, 강남구(0.16%)는 개발 호재 있는 대치·개포동, 양천구(0.15%)는 목·신정동 신축 위주, 영등포구(0.14%)는 여의도·신길동 등이 올랐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도 0.20%로 올랐다. 전주 상승률 0.17%보다 0.03%포인트 상승 폭이 확대했다. 이전 2주간 0.17%로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다시 한번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 전세시장도 오름세다.

수도권 전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0.24%로 나타났다. 전주 변동률 0.21%보다 상승 폭이 0.03%포인트 늘었다. 서울은 저가 매물 소진 후 거래 당사자 간 희망 가격 격차로 관망세 보이는 가운데 교통과 학군, 양호한 신축 위주로 수요 증가하고 매물 부족 현상 심화하며 상승 폭이 확대하고 있다.


부동산R114 조사에서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9월 7일 기준 서울 일반아파트가 0.01% 올랐다.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 추진단지와 강북권역 구축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강남(0.03%), 도봉(0.03%), 동작(0.03%), 마포(0.01%), 성동(0.01%), 송파(0.01%) 순으로 상승했다.

강남은 개포동 주공고층7단지, 대치2단지, 일원동 가람 등이 500만~2500만 원 올랐다. 도봉은 방학동 우성1차가 1000만~2000만원 상향 조정됐다. 


경기 변화에 민감한 재건축아파트도 3개월 연속 뛰고 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과거 시세 추이와 마찬가지로 최근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끄는 유형은 재건축으로 확인된다. 7월 기준 서울 아파트가격은 0.01% 올라 지난해 5월(0.09%) 이후 14개월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다.

그 중 재건축은 7월과 8월 각각 0.12%, 0.03% 올랐지만, 일반아파트(7월 -0.01%·8월 보합)는 아직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다만 9월 들어서는 재건축과 일반아파트가 동반 상승으로 방향 전환한 만큼 추세는 앞으로 더 강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서울시가 2040 도시기본계획과 신속통합기획 등을 통해 서울 압구정과 여의도, 목동 등의 주요 정비 사업 추진을 서두르는 가운데 정부 차원의 새로운 공급대책 발표가 임박했다. 지난해 8월 270만호 공급대책 발표 내용을 보면 정비사업 물량이 52만호로 약 20%의 비중을 차지한다.

서울은 택지가 부족해 공급량의 80~90% 수준을 정비 사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물가 상승과 금융 비용 증가로 조합과 건설사 사이의 공사비 갈등이 심화하면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공급 선행지표인 인허가, 착공 등이 급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건축 등 정비 사업에서 규제완화정책이 포함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즉 규제 완화 정책 없이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지원에 따른 정비사업 활성화 기대감은 수요층 사이에서 더 커질 전망이다.  이욱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